최종편집 : 2024.04.17 11:27
Today : 2025.04.08 (화)

  • 맑음속초10.5℃
  • 맑음12.5℃
  • 맑음철원11.4℃
  • 맑음동두천14.5℃
  • 맑음파주11.7℃
  • 맑음대관령4.9℃
  • 맑음춘천14.2℃
  • 구름조금백령도7.9℃
  • 맑음북강릉9.5℃
  • 맑음강릉12.2℃
  • 맑음동해9.8℃
  • 구름조금서울14.1℃
  • 맑음인천11.1℃
  • 맑음원주14.4℃
  • 맑음울릉도10.2℃
  • 맑음수원11.0℃
  • 맑음영월13.6℃
  • 맑음충주13.6℃
  • 맑음서산10.0℃
  • 맑음울진11.4℃
  • 맑음청주14.7℃
  • 맑음대전14.0℃
  • 맑음추풍령14.0℃
  • 맑음안동15.5℃
  • 맑음상주15.2℃
  • 맑음포항12.1℃
  • 맑음군산10.1℃
  • 맑음대구13.9℃
  • 구름조금전주12.9℃
  • 맑음울산12.2℃
  • 맑음창원15.7℃
  • 맑음광주13.8℃
  • 맑음부산14.5℃
  • 맑음통영13.3℃
  • 구름조금목포11.2℃
  • 맑음여수18.1℃
  • 구름조금흑산도7.9℃
  • 구름조금완도13.9℃
  • 맑음고창9.7℃
  • 맑음순천13.7℃
  • 맑음홍성(예)12.0℃
  • 맑음13.4℃
  • 구름조금제주14.5℃
  • 구름조금고산12.7℃
  • 구름조금성산14.4℃
  • 구름조금서귀포16.0℃
  • 맑음진주18.2℃
  • 맑음강화13.7℃
  • 맑음양평15.0℃
  • 맑음이천13.4℃
  • 맑음인제11.4℃
  • 맑음홍천13.2℃
  • 맑음태백6.5℃
  • 맑음정선군11.4℃
  • 맑음제천10.6℃
  • 맑음보은11.6℃
  • 맑음천안13.0℃
  • 맑음보령7.6℃
  • 맑음부여11.8℃
  • 맑음금산14.0℃
  • 맑음13.8℃
  • 맑음부안10.2℃
  • 맑음임실11.9℃
  • 맑음정읍11.3℃
  • 맑음남원13.3℃
  • 구름많음장수9.1℃
  • 맑음고창군12.3℃
  • 맑음영광군10.3℃
  • 맑음김해시15.8℃
  • 맑음순창군13.2℃
  • 맑음북창원17.9℃
  • 맑음양산시14.8℃
  • 구름조금보성군13.7℃
  • 구름조금강진군14.7℃
  • 구름조금장흥14.4℃
  • 맑음해남13.5℃
  • 구름조금고흥14.1℃
  • 맑음의령군18.0℃
  • 맑음함양군15.0℃
  • 맑음광양시16.8℃
  • 구름조금진도군11.6℃
  • 맑음봉화12.0℃
  • 맑음영주13.2℃
  • 맑음문경13.4℃
  • 맑음청송군10.8℃
  • 맑음영덕10.8℃
  • 맑음의성13.1℃
  • 맑음구미15.2℃
  • 맑음영천12.2℃
  • 맑음경주시12.2℃
  • 맑음거창
  • 맑음합천17.9℃
  • 맑음밀양16.7℃
  • 맑음산청15.5℃
  • 맑음거제14.0℃
  • 맑음남해18.8℃
  • 맑음15.5℃
기상청 제공
10대에게 자주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 ① ‘급성충수염’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강·과학

10대에게 자주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 ① ‘급성충수염’


10대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병 중 하나인 ‘급성충수염’은 ‘맹장염’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맹장은 대장의 한 부분이고, 충수는 맹장에 나온 꼬리를 지칭합니다. 즉, ‘충수염’이란 충수라는 대장에 붙어있는 작은 주머니에 발생한 염증을 뜻합니다. 충수는 병균과 맞서 싸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면역계의 한 부분으로, 나이가 들면 충수 대신 다른 부위가 기관에서 감염에 대처하는 방어력을 형성하게 됩니다. 충수에 발생한 염증은 빨리 수술을 받아 제거해야 합니다.

전체 환자의 절반 정도에서는 전형적인 임상 양상으로 병이 진행하기 때문에 의사라면 간단한 진찰만으로도 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특이적 양상을 보이는 경우에는 쉽게 진단이 되지 않아 복막염이나 충수주위농양으로 진행한 후에 수술을 받게 되는 경우도 흔하게 있습니다.

병이 시작될 때는 식욕이 떨어지고 오심(울렁거림)이 먼저 시작된 후에 상복부 통증이 나타납니다. 이때 1~2회 정도 구토를 하기도 하며, 충수가 위치한 오른쪽 아래 복부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거나 단지 진찰 시에 미세한 압통 (손으로 누를 때 아픔을 느낌) 만이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이 시기에 진료를 받을 경우 단지 체했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상복부 통증은 시간이 지나면서 배꼽 주위를 거쳐서 우하복부 통증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때 진찰을 하면 우하복부에 압통이 뚜렷해지고 반발통(손으로 눌렀다 뗄 때 아픔을 느낌)이 나타납니다. 서서히 미열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한기를 느끼기도 합니다.

 

상복부 통증으로 힘들어하는 남자 아이.

 

그렇다면 충수염이 일어나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기본적으로 급성 충수염은 어떤 원인에서든지 충수 내부가 막히면서 시작됩니다. 충수가 막히게 되면 충수로부터 대장으로 향하는 정상적인 장의 연동운동이 제한됩니다.

고인 물이 썩듯이 저류가 일어난 상태에서 장내 세균이 증식하고 독성 물질을 분비하게 됩니다. 그러면 이 물질들에 의해서 충수 내부 점막이 손상받고 궤양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후 충수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면 충수로 가는 동맥혈의 흐름이 저하되고 충수 벽이 괴사되어 천공으로 진행됩니다. 폐쇄를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충수 주위의 임파 조직이 과다 증식되는 경우가 제일 흔합니다(60%).

다음으로 딱딱한 변이 충수로 흘러들어가서 입구를 막는 경우(35%), 그 외에 이물질, 염증성 협착 등이 원인이 됩니다. 충수 내부 염증이 점점 자라나 터져버리면 세균이 복부 내부에 번져 복막염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급성충수염 발생이 의심되면 과거 병력을 확인하고 환자 오른쪽 아랫배를 눌러 통증 정도를 살펴봅니다. 염증 발생 여부 파악을 위해 혈액검사도 시행하며, 복부 x-ray 검사 또는 CT 검사로 복부를 관찰합니다.

 

보편적 치료법으로 염증이 발생한 충수를 제거하는 수술 방법이 있습니다. 복부를 5~10cm 정도 절개해 충수를 들어내는 개복술이 많이 활용됩니다. 절개를 하지 않고 배에 작은 구멍을 낸 후, 카메라와 수술도구를 넣어 제거하는 복강경 수술도 사용됩니다. 수술 후에는 항생제를 맞으며 1~2일 정도 휴식을 취합니다. 수술 후에는 상처 부위가 아물 때까지 격렬하거나 움직임이 큰 운동은 자제해야 합니다. 기침이 날 땐 베개 등으로 배를 지지해 줍니다.

 

<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 블로그>


[자료제공 :(www.korea.kr)]
본 기사는 넷프로 인터넷뉴스 홈페이지의 데모기사 입니다.
등록된 기사는 테스트용이며 비회원이 복사한 자료일 수 도 있습니다.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